'경제적 부가가치'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09.08.07 eva의 한계와 그 시사점
10억원을 투자해서 1년에 1억원(당기순이익으로)을 벌었다면, 이익을 낸 것일까요? 아니면 손해를 본 것일까요?
다소 엉뚱해 보이는 이런 의문에서 개발된 개념이 바로 EVA, 즉 경제적 부가가치라는 개념입니다.
 
EVA(경제적 부가가치; Economic Value Added)란 초과이익을
성과평가 목적에 적합하도록 조정한 것입니다. 다시 말해 기업 손익계선서상 당기순이익에서 자기자본에 대한 기회비용을 차감하여 얻어지는
이익(초과이익)을 진정한 가치 창출로 보는 개념입니다.
이를 산식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초과이익(경제적 부가가치)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비용 x 자기자본
혹은, 이자 지급 전 이익에서 가중평균 자본비용 x (자기자본 + 이자지급부채)한 것 만큼 차감함으로써 계산할 수도
있습니다.
EVA 관점에서 살펴볼 때 성공적인 경영, 즉 진정한 의미에서의 가치 창조 경영이란 손익계산서 상 당기순이익에서 자기자본 비용을
차감한 경제적 부가가치가 '0'보다 커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EVA의 한계점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1. 전통적 회계시스템의 단점 유지EVA는
전통적 회계 시스템과 높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간편하고 이해하기 쉽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같은 이유로 인해 한계를 노출하기도
합니다. 즉,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 원칙 중 단기이익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회계 처리하는 경향을 막을 수가 없고, 또한 회계자료의 객관성과
투명성이 보장되지 않을 경우 성과 평가 지표로서의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습니다. 또한 계열사간 내부 거래가 많을 경우 사업부별 평가지표로서
한계를 갖게 됩니다.

2. 단기적 이익 추구, 장기적 이익
무시EVA 평가지표는 기본적으로 당기순이익에 기초한 평가방법입니다. 따라서 EVA지표만으로 성과 평가 제도를
운영할 경우 경영자들이 '회사의 장기적 이익에 기여하는데도 불구하고 단기적 비용으로 회계처리되는 부분'에 대해 투자를 꺼리게 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특히, 지식 습득과 교육, 마케팅 및 신기술 개발에 소요되는 투자를 줄임으로써 장기적 관점에서의 회사 가치를 훼손시키는 우를
범하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3. 기타 문제점경기변동에 민감한 산업의 경우
기업이나 해당 사업부의 EVA는 내부적인 노력과는 상관없이 크게 변동되고 됩니다. 이렇게 되면 성과 평가지표로서의 EVA는 그 유용성이 크게 훼손될 수 밖에 없습니다.
만약 사업부별로 사업 규모가 차이가 나는 경우 EVA의 절대 규모만 가지고 성과 평가를 한다면, 규모가 작은 사업부분이 항상 불리한
입장에 처하게 됩니다.
한편, 우리나라 재벌기업의 경우 계열사간 내부자 거래가 많이 이뤄지고 있어, 이들을 감안하지 않은 상태에서 EVA만을 가지고 성과
평가를 하게 되면 계열사들의 실질적인 경영성과를 평가할 수 없는 것도 한계점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EVA가 결과 위주의 평가방법이기 때문에 원인파악을 통한 개선 활동을 이끌어내는 데에는 미흡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른 시사점은 EVA 한계극복 방안으로 대신하겠습니다.

1. 장단점 충분한 이해하의 도입모든 경영기법들이 그렇듯이 EVA도 유용성과 함께 나름대로의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EVA를 기업 성과 평가 지표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EVA의 장점과 단점을 충분히 파악한 후 자사의 특성에 맞게 적절히 변형 적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 가치경영이 기업문화로 승화되어야 합니다.EVA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기업의 가치경여과 성과 평가 제도와 시스템이 기업문화로 승화되어야 합니다. 아울러 EVA 지표를 통한 평가를 하기 위해서는 사업부별 책임경영제으 문화와 시스템이 사전에 충분히 갖추어져 있어야 합니다.

3. 질적 지표와 동시 활용경영자와 사업부 대표들이 회사 차원에서 장기적인 이익을 추구하지 않고 단기적인 이익에 집착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EVA와 더불어 bsc와 같은 질적인 성과지표를 같이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내부 프로세스 혁신, 마케팅과 R&D에 대한 투자, 그리고 지식습득에 대한 투자 등은 장기적 차원에서 회사의 경쟁력 배양에 도움이 됨에도 불구하고 단기적 이익에는 부정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 대한 투자와 지출을 적절히 유도하기 위한 장치를 해 두어야 합니다. 아울러 ROI지표를 EVA 지표와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사업부별 규모 차이에 따른 성과 왜곡 현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4. 회사 특성 감안한 도입위에서 살펴 본 것처럼 경기변동에 민감한 산업의 경우 EVA를 토대로 평가할 경우 성과 자체가 급격히 변동하는 사례가 빈번합니다. 따라서 EVA 지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산업의 특성과 더불어 회사의 사업 수명주기를 적절히 감안하여 EVA를 적용하여야 합니다. 시례로, 네슬레는 러시아 시장에 신규 진출했을 때, 초창기에는 시장 침투가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전사적 차원에서 EVA개념을 도입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에서만은 일정기간 동안 EVA개념 도입을 유보했다고 합니다.

지식은 SERI포럼의 열린지식존 > 지식SOS에 올라온 회원 답변글입니다



: